다구(茶具)란?
차를 끓이는 데 필요한 도구. 다기, 티세트 등으로도
불려지기도 하는데
언제부터 다구가 갖추어지기 시작하였는지는
알 수 없다고 합니다.
신라의 대표적인 화랑 사선(四仙)이
차를 달이던 석지조(石池竈)가
고려 후기까지 강릉 경포대에
전해지고 있었다고 합니다.
13세기 후반 이를 직접 보았던
법사 순암(順庵)의 설명에 의하면,
석지는 사방을 말[斗]처럼 모나게 다듬고
가운데를 확처럼 둥글게 파서 샘물을 담도록 된 것으로,
아래는 구멍이 뚫려서 물을 빼거나 고이게
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.
석조는 두 곳을 움푹 팠는데
둥글게 판 곳에는 밑에 바람이 통하는 구멍을 뚫어
불을 피울 수 있도록 하였고,
타원형으로 판 곳은 찻그릇을 씻을 수 있도록
만든 것이라고 합니다.
이와 같이, 우리의 전통다구에 관한
단편적인 기록과 유물 등이 전하여지고 있으나,
아직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형편이며
구체적인 기록도 없다고 합니다..
차를 끓여 마시는 데 필요한 도구
(1) 다마(茶磨) :
음다(飮茶)의 풍이 성행하였던 고려시대는
다구 또한 상당히 발달하여 고려청자의 발달에
영향을 주기도 하였다고 하네요.
이 시대는 말차(抹茶)가 성행하여 차를 가는 데
사용되는 맷돌인 다마가 있었다고 합니다.
(2) 풍로(風爐) : 불을 피우는 중요한 다구 입니다.
화로에는 은으로 만든 은로(銀爐)와 무쇠화로 등이 있었고,
풍로에는 흙으로 만든 전로(塼爐)와 곱돌로 만든 것 등이 있었읍니다.
물론, 화로나 풍로 등이 다구로만 쓰였던 것은 아닙니다.
오늘날는 전열장치를 한 풍로나 가스, 혹은 커피포트 등이
널리 쓰이고 화로 등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읍니다.
화로에 숯불을 피워 물을 끓일 경우 숯을 담아두는
숯바구니·삼발·부손·부젓가락 등의 도구가 필요 합니다.
(3) 탕관(湯罐) :
물을 끓이는 다구를 탕관이라고 이야기하는데
그 종류는 많읍니다.
즉, 그 형태에 따라 다리가 달린 솥인 다정(茶鼎),
다리가 없는 솥인 다부(茶釜),
주전자형의 철병(鐵甁) 등이 있읍니다.
곱돌솥은 열의 전도가 늦지만 물이 쉽게 식지 않는 장점이 있읍니다.
탕관은 물 끓는 소리가 맑은 것일수록 좋읍니다.
오늘날 커피포트나 알루미늄주전자 등이 쓰이고,
보온병에 끓인 물을 보관하기도 하지만,
운치는 없는 편이지요.
(4) 다관(茶罐) :
끓인 물과 잎차를 넣어 차를 우려내는 다구로
급수(急須)·차주(茶注)·주춘(注春)·차병(茶甁)·차호(茶壺)
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.
재료에 따라 청자 및 백자 등의 자기로 된 것과
은이나 놋쇠 등으로 만든 것이 있읍니다.
다관은 형태에 따라서 상파형(上把型)·후파형(後把型)·횡파형(橫把型)·
보병형(寶甁型) 등으로 구별됩다.
이것은 대개 손잡이의 형태에 의한 분류이구요.
상파형은 손잡이가 위에 있어 주전자와 비슷하며,
손잡이가 고정된 것보다는 움직이게 된 것이 쓰기에 편리 합니다.
횡파형은 손잡이가 옆에 있는 형태이고 손잡이가 뒤에 달린 것은 후파형이며,
손잡이가 없는 것은 보병형 입니다.
일반적으로 다관은 공예성이 문제되지만,
실용적인 면에서는 뚜껑·주둥이, 거르는 곳 등에 주의하여야 합니다.
차관을 사용할 때는 항상 안에 차 찌꺼기가 남지 않고
깨끗하게 하여야 합니다.
(5) 숙우(熟盂) :
탕관에서 끓인 물을 옮겨 식히는 다구 입니다.
흔히 물식힘그릇이라고도 하는데,
대개 백자사발을 사용 합니다.
(6) 찻 잔 : 재료로 금·은·옥·도자기 등이 쓰이고,
형태에 따라 잔[盃]·주발[碗]·종지[鍾] 등으로 구분 됩니다.
크기도 다양한데 차의 품질에 따라 달라 집니다.
색은 흰색이 좋은데, 그것은 차의 녹색을 더욱 선명하게 해주기 때문이지요.
고려시대 금화오잔(金花烏盞)·비색소구(翡色小甌)·청자다완(靑磁茶碗) 등이
사용되었고, 조선시대는 백자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.
(7) 찻잔받침 : 찻잔을 받치는 데 쓰이는 다구로서,
차탁(茶托)이라고도 합니다.
재료로는 도자기·은·주석·구리·나무·대나무 등이 쓰이고,
형태는 원형·타원형·배형 등이 있읍니다.
(8) 다반(茶盤) :
찻잔 등을 담는 쟁반 입니다.
흔히 나무로 된 다반을 사용하고,
형태는 원형·타원형·사각형 등이 있고, 크기는 다양 합니다.
(9) 다정(茶亭) : 조선시대 왕이 식사 때 쓰던 다구 입니다.
은다관(銀茶罐)과 은찻종을 올려놓고
어좌(御坐)의 오른편에 놓았읍니다.
(10) 찻숟가락(茶匙) : 찻통에 들어 있는 차를 떠서
다관이나 다완에 옮기는 다구로 차칙(茶則)이라고도 합니다.
말차와 엽차에 따라 찻숟가락도 다릅니다.
말차에 사용하는 찻숟가락은 대나무·상아·은 등으로
찻가루를 뜰 수 있게 만들고, 엽차의 경우
대토막을 반으로 쪼갠 형태인데 화류나 대추나무 등으로
숟가락을 만들기도 합니다.
(11) 차선(茶筅) : 찻사발에 찻가루를 넣고 탕수를 부은 다음,
이를 휘젓는 데 사용하는 말차용 다구로,
차전(茶筌)이라고도 합니다.
흔히 대나무로 만드는데, 아주 잘고 가늘게 쪼개어
고기잡는 통발처럼 만든 작은 솔 입니다.
(12) 표주박 : 탕관에 물을 붓거나 끓는 물을 떠낼 때
사용하는 다구입니다.
조그만 박을 쪼개어 사용하거나
대나무로 자루가 달린 작자(杓子)를
사용하기도 합니다.
(13) 찻수건 : 찻잔 등을 닦는 데 쓰이며
차포(茶布)라고도 합니다.
찻잔을 닦는 것과 다른 여러 다구를 닦는 것으로
구분하여 쓰는 것이 좋읍니다.
(14) 찻 상 : 모든 다구를 거두어 진열하는 것을
구열(具列)이라고 하는데,
구열에는 상형(床型)과 가형(架型)이 있다.
나무나 대나무로 만듭니다.
(15) 찻 통 : 차를 담아 보관하는 것으로,
차의 참다운 향기를 보존할 수 있도록 잘 밀봉 합니다.
재료는 은·주석·양철·자기 등이 쓰이는데,
용기가 크지 않은 것이 차의 보관에 좋읍니다.
도자기류의 찻통은 뚜껑이
잘 밀폐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
주의가 필요합니다.
요즈음 흔히 이중 뚜껑을 갖춘 양철로 된
찻통이 쓰이고 있읍니다.
(16) 물항아리 : 차를 달이는 데 쓸 물을 담아두는 그릇으로
중국에서는 수방(水方)이라고 합니다.
나무로 만든 물통, 도자기로 된 항아리,
청동물항아리 등이 쓰였읍니다.
(17) 개수통(改水筒) : 찻잔을 씻은 물이나 차 찌꺼기 등을
담는 그릇입니다.
목재류·금속류·도자기류가 사용되고
원통형·항아리형 등의 형태가 있읍니다.
'차(茶, Tea)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양많은 찻 잎 활용 방법 알려 드릴께요. (0) | 2024.07.24 |
---|---|
향기가 은은한 맛있는 녹차(효능 그리고 부작용) (0) | 2024.07.04 |